간토대지진
가장 피해가 컸던 제3해보
다이쇼 12년(1923) 9월 1일, 간토 대지진이 발생했습니다.이로 인해 도쿄만 해보도피해를 입었습니다.
수심이 얕은 제1해보는 끔찍한 피해였지만깊은 제3해보는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수심이 중간인 제2해보는 중피해를 입었습니다.제3해보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대부분 바닷속으로 떨어지거나 기울어져 버렸습니다.
다만, 부등침하대책이 잘 시행되고 있었기때문에 군사시설·건물에는 하나의 균열도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간토 대지진 직후 피해를 입어 침하된 제 3 해보의 사진이 남아 있습니다.
이것이 제3해보의 전모를 보여주는 유일한사진입니다.

지진 재해 직후의 제3해보
다이쇼 12년(1923) 9월 9일
요코스카 해군 항공대 촬영
방위연구소 소장

어소함 ‘유바리’와 제3해보
다이쇼 12년(1923) 9월 9일 촬영
방위연구소 소장

지진 재해 직후의 제1 해보
다이쇼 12년(1923) 9월 9일 촬영
방위연구소 소장

지진 재해 직후의 제2해보
다이쇼 12년(1923) 9월 9일 촬영
방위연구소 소장
인공섬 건설의 선구, 제3해보
제3해보는 4.8m나 침하되어 시설의 1/3이수몰되어 기능을 상실하였으므로 대포는 철거되고 군사 시설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제3해보가 복원되지 않은 것은 대포기술이발달하면서 제3해보의 위치에는 포대가 필요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 설계·시도의 체험은, 그 후의 해양 항만 행사에 큰 교훈으로서 남겨져 수많은 유익한 시사점을 주었습니다.
도쿄만 해보는 오늘 전국 항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인공섬 건설의 선구자로서 큰 의의를 나타냈습니다.